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노후 월 생활비 및 연령별 노후대비 방법 알아보기

by HAHEHI 2023. 7. 4.

노후에도 파산하지 않고 윤택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년에 필요한 적정 월 생활비 수준과 연령별 노후대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노후 적정 월 생활비

- 부부 기준 월 300만원

- 1인 기준 월 200만원

 

연구결과와 발표 미디어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보통 노부부 기준 월 300만원, 1인의 경우 월 200만원이 있어야 노후에 평범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적정 수준이 아닌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생활비는 부부의 경우 약 200만원, 1인의 경우 약 130만원정도입니다.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병을 앓게 되거나 특별한 일이 있는 경우에는 부부 기준 월 300만원의 생활비도 부족해 보입니다. 

 

노후생활비, 연령별 노후대비 방법

 

연령별 노후대비 방법

'머니인사이드'라는 유익한 페이지에서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강창희 대표(전 미래에셋 부회장)의 강연을 보았습니다. 

 

강창희 대표는 노후를 자녀에게 기대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고 말하며, 비참한 노후 파산을 막고 존엄을 지키기 위해서는 연령별로 다른 전략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1) 20대, 30대

- 3층연금 가입(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연금은 한달에 10만원, 20만원이라도, 작은 금액이라도 20년, 30년, 40년 오래 부으면 세월이 쌓여 돈이 되기 때문에 젊을때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직장생활 시작하면서부터 바로 3층연금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준비하면 연금으로 지출하는 부분을 없다고 생각하고 소비 패턴을 만들어서 적응하는 것이 비교적 쉽습니다. 

 

20대, 30대에는 결혼과 내집마련 등 때문에 눈앞에 바로 보이는 현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너무 오래 묶이고 마음대로 빼서 쓸 수도 없는 연금을 가입한다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젊을 때 시작하면 비교적 작은 돈으로도 노후대비가 가능하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 자산관리원칙을 공부할 것

자산관리의 기본 원칙을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가입하는 상품이 저축상품인지 투자상품인지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우리나라 의무교육에는 기본 경제지식과 자산관리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스스로 공부하든 부모나 전문가에게 배우든 별도로 배우는 노력을 해야합니다. 

 

다만, 자신의 본업에 영향을 줄 정도로 재테크에 너무 몰두하는 것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 인적자본투자를 열심히 할 것(연봉 높이는 노력, 돈 버는 노력)

 

 

 

2) 40대

- 건강 리스크 관리하기

일상에서 꾸준한 건강관리는 기본입니다.

강창희 대표는 중대질병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중요한 노후대비 방법 중 하나라고 말합니다. 

 

퇴직하면 생활비가 줄어들 것 같지만 병원비, 간병비 등이 늘어나서 의외로 생활비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 자녀 리스크 관리하기

자녀 교육 문제와 결혼 문제 등을 신경써서 자녀 Risk를 관리하고 무리한 지출을 막아야 자녀도 행복하고, 부모도 아낀 돈으로 노후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소득 대비 자녀 양육비의 비율이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1위라고 합니다. (2위 중국, 3위 이탈리아) 

학비, 사교육비, 결혼비용 등으로 많은 돈이 소요됩니다. 과거에는 이렇게 자녀를 양육해두면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주는 문화였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고 평균수명이 길어졌기 때문에, 부모의 노후에는 자녀도 함께 늙어가는 상황이 될 것이고 자녀도 부모를 부양할 여력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녀에게 올인하지 않는 자산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50대, 60대

- 가계 자산의 구조조정 (퇴직 전에)

사람마다 퇴직 시기는 다르지만 퇴직 전에 가계 자산의 구조조정이 필요합니다.

집을 줄이더라도 '빚을 줄이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빚을 안고 퇴직하면 괴롭습니다. 

 

가지고 있는 재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인 경우 시황에 따라 불안감이 높은 노후생활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부동산과 금융 자산의 적정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창희 대표는 노후에 너무 큰 아파트를 무리해서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 집이 작더라도 병원, 쇼핑, 문화생활이 가까운 곳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노후에는 자산 비중이 너무 집에만 몰려 있으면 안됩니다. 

젊을 때에도 부동산 자산이 아닌 금융 자산의 비중을 최소 10%, 20%는 확보하고, 이를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강창희 대표는 60세 정도가 되면 부동산과 금융 자산의 비율이 반반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 퇴직 이후에 위험한 투자 하지 않기

꼭 하고 싶다면 가지고 있는 금융 자산의 20~30% 범위 안에서만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활동하기

돈이 되는 일이든, 사회 공헌 활동이든, 취미 활동이든 소일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노후의 소일거리 준비를 50대, 60대에는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추천글]

2023.07.04 - [생활정보] - 연금계산기 추천, 얼마가 부족할까 조회하기

 

연금계산기 추천, 얼마가 부족할까 조회하기

안정적인 노후대비 방법은 바로 3층연금 준비입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은퇴 후를 위해 월 얼마씩 준비해야 할지, 현재 얼마가 부족한지 간단하게 조회 해보고 계획을 세워보시기

hahehi.tistory.com


강창희 대표 유튜브 영상 링크 소개합니다. 

미리미리 행복하고 윤택한 노후를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36) 한국인 노후에 끔찍한 가난이 찾아온다. 가난하게 죽기 싫으면 당장 '이것'부터 끊으세요.(강창희 대표 1부) - YouTube